우리나라 금융권에서 투자한 해외 부동산 자산 중 약 2조6000억원이 부실 위험에 빠진 것으로 집계됐다. 수익 회복 지연과 높은 공실률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.
금융감독원이 3일 발표한 ‘2024년 12월 말 기준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’에 따르면, 전체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원으로 전분기보다 2000억원 증가했다. 이는 전체 금융권 자산(7234조원)의 0.8% 수준이다.
이 가운데 금융회사가 단일 사업장에 투자한 금액은 총 34조1000억원이며, 이 중 2조5900억원(7.59%)에서 기한이익상실(EOD) 사유가 발생했다. EOD 발생 자산은 주로 복합시설(1조4800억원), 오피스(6600억원), 주거용(2900억원) 순이었다. 복합시설의 경우 전체 투자금 대비 38.9%가 부실 처리됐다.
직억 권별 전체 투자 규모는 보험 30조1000억원(53.8%), 은행 12조5000억원(22.3%), 증권사 7조6000억원(13.6%), 상호금융 3조7000억원(6.5%), 여신전문금융회사 2조원(3.5%), 저축은행 1000억원(0.2%) 순이었다.
우리나라 지역별 투자 비중은 북미가 35조원(62.5%)으로 가장 높았으며, 유럽 10조3000억원(18.4%), 아시아 3조8000억원(6.9%), 기타·복수지역 6조8000억원(12.2%)이 뒤를 이었다.
작년 12월 기준 주요 자산의 공실률은 오피스 20.4%, 소매 10.3%, 산업시설 6.9%, 아파트 6.1%로 나타났다.
부동산 시장 회복 속도도 제한적이다.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(CPPI)는 2022년 155.0에서 2023년 121.5로 하락한 뒤 2024년 말 127.3까지 소폭 회복됐고, 유럽은 같은 기간 129.6에서 100.0까지 떨어진 뒤 정체돼 있다.
금감원은 오피스 자산에 대해 감정평가 최신화 및 손실인식 적정성 여부를 점검하는 맞춤형 감독을 진행하고, 다른 자산 유형에 대해서도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적정 손실 인식을 유도할 방침이다. 업권별 대체투자 관련 리스크관리 기준도 올해 3분기까지 순차적으로 개정된다.